본문 바로가기
생명ll진화

신경계 <3.대뇌의 구조- 더 안쪽으로>

by Science Channel DRIVER 2021. 12. 26.
반응형

2021.12.26 - [생명,화학] - 신경계 <2.대뇌의 구조-언어 영역>

 

신경계 <2.대뇌의 구조-언어 영역>

2021.12.26 - [생명, 화학] - 신경계 왼쪽 뇌의 특징 중 하나인 언어영역과 관련된 부분을 봅시다 우리가 언어라고 하는 것은 일단 이해를 해야 하고, 다음 표현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여기서 언어를

sciencechannel.tistory.com

대뇌 피질에서 더 안쪽으로 들어가면

신경으로 이루어진 대뇌, 그중

신경 세포체가 밀집해서 어둡게 보이는 피질과는 다르게

흰색으로 하얗게 보이는 구간이 있어요 

이곳을 대뇌 수질이라고 하는데요 

 

신경세포에는 세포의 역할을 하기 위해 핵과 세포 소기관들 그리고 다른 신경 세포로부터 신경 전달물질을 받는 수상돌기들이 있는 신경 세포체 외에

 

신경전달 물질을 전달하는 긴 꼬리 같이 생긴 축삭(축삭돌기)를 보호하기 위해 

일종의 절연체 역할을 하는 수초라는 세포가 있어요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할 때 시냅스에서 단백질 단위 혹은, 아미노산 단위의 물질을 분비해서 신호를 주고받지만

 

신경세포내의 신호전달은 전하를 띄는 이온으로 하거든요 

인간 같은 경우 나트륨과 칼륨이온으로 신경세포 내에서 신호를 전달하죠 

 

축삭돌기에는 수초(중추신경계는 희소 돌기 아교세포, 말초신경에는 슈반 세포)라는 또 다른 세포가 감싸고 있어서 다른 세포를 보호하고

축삭 내의 전기적 전달신호가 엉뚱한 곳에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절연체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방으로 가득 차있어요.지방은 소수성이기 때문에 친수성인 이온이 투과하기 매우 어렵죠.

이러한 수초의 지방 때문에 대뇌 수질은 하얗게 보인답니다

 

 

대뇌 수질 밑에 있는 기저핵이라고 불리는 진회색의 영역은 

대뇌피질에서 시작된 운동경로에 억제, 통제 신호를 줘서 불필요한 운동을 하게 해요

즉,여러 신호들을 '튜닝'하는 곳이죠

자세, 균형 등과 같은 운동들을 감독하고 조절하는 곳이랍니다 

 

 

 

2021.12.26 - [생명,화학] - 신경계 <4.대뇌의 구조-학습 영역>

 

신경계 <4.대뇌의 구조-학습 영역>

2021.12.26 - [생명, 화학] - 신경계 학습의 영역에 대해 알아봐요  해마라고 들어 보셨나요?  흔히들 장기기억의 영역이라고 말하죠. 사실 해마는 장기기억을 저장하는 곳이 아닙니다 해마는 단기

sciencechannel.tistory.com

 

반응형

'생명ll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계 <5.대뇌의 구조-간뇌>  (0) 2021.12.27
신경계 <4.대뇌의 구조-학습 영역>  (0) 2021.12.26
신경계 <2.대뇌의 구조-언어 영역>  (0) 2021.12.26
신경계 <1.개요>  (0) 2021.12.26
텔로미어란 무엇일까?  (0) 20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