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주7 우리의 첫 달탐사선 다누리가 달 궤도에 안착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총알 위에 올라타는 것만큼 어려운 일인데, 예정보다 이틀 먼저 해냈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 달 탐사국이 됐는데요. 다누리가 목표인 달 상공 100km 궤도에 잘 들어간 지 확인된 건 어제(27일) 오후 6시입니다. 지난 8월 5일 지구를 떠난 지 145일만입니다. 다누리는 지난 17일부터 5번에 걸쳐 임무 궤도에 들어갈 예정이었지만 안정된 비행을 하자 연구진은 이를 3차례로 줄였고 성공했습니다. 예정보다 이틀 먼저 안착한 겁니다. 지금은 달의 남북극을 찍으며 2시간에 한 바퀴씩 달을 돌고 있습니다. 다누리엔 모두 6개의 탑재체가 있는데 내년 1월 시험 운전을 거쳐 2월부터 본격 임무를 시작합니다. 다누리의 성공을 토대로 그릴 다음 청사진은 2032년 달 착륙입니다. 이를 위해선 착륙선을.. 2022. 12. 30. 지구 크기의 망원경으로 블랙홀을 찾는 방법 역사상 유례없는 프로젝트를 위해 4개 대륙에 걸쳐 8개의 최고의 전파 천문대를 모집합니다 그리고 그 관측소가 같은 부분에 동시에 초점을 돌릴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웠죠. 다음 과학에서 한 번도 시도한 적이 없는 규모로 관찰을 수집하여 매일 밤 2페타바이트의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이것은 지금으로부터 5년 전 지구와 거의 같은 크기의 가상 천문대를 만들기 위해 전 세계에 배치된 전파 망원경 팀인 Event Horizon Telescope(EHT)의 2017년 4월의 계획입니다. 블랙홀은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달 표면에서 베이글만큼 크게 나타나야 하기 때문에 허블 우주보다 1,000배 이상의 해상도가 필요합니다. 망원경. 그러나 연구자들이 흐릿한 픽셀 몇 개만 포착할 수 있다고 해도 이는 기본 물리학,.. 2022. 1. 29. 제임스 웹(James Webb)우주망원경 프로젝트로 부터 얻을 수 있는 것들 나사(NASA)의 James Webb 우주 망원경은 수십 년 동안의 프로젝트를 견디고 완벽하게 성공시켰습니다.. 그러나 네이처 저널은 이 엄청난 프로젝트에 두 가지 아쉬운 점을 지적했습니다 일단은 시작 비용을 너무 과소평가하고 추진했다는 점, 그리고 너무 많은 복잡한 기술을 추가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실수를 피하기 위해 대규모 프로젝트의 관리자는 작업 시작 후 주기적으로 여러 비용 견적을 얻은 다음 그에 따라 생각을 조정해야 한다고 하네요 Webb 망원경의 불안정한 시작에서 완벽한 성공까지 여러 교훈을 얻을 수 있지만 우리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가져올 놀라운 우주사진을 기대해 봅시다 2022. 1. 28.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합니다 James Webb 우주 망원경은 월요일에 목적지에 도달했습니다. L2라는 지점 또는 두 번째 Lagrange 지점 주위의 궤도에 안착했습니다. 이 지점은 달보다 지구에서 약 4배 더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L2이라는 구역은 특별합니다. 중력적으로 안정적이고 태양과 지구 반대편에 위치하므로 망원경은 거대한 선 실드에 의해 태양, 지구 그리고 달의 빛으로부터 가려진 깊은 우주를 방해받지 않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L2는 매우 차갑기 때문에 –233°C에서 가장 잘 작동하는 Webb의 과학 기기에 이상적입니다. 2022. 1.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