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이러스6 새로운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 기존 변이 바이러스에 비해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 많아 면역 회피력 높아 스파이크 단백질 특색에 따라 개발되는 백신 효과 낮아져 ‘백신 뚫는 변이’ ‘백신 무력화’ ‘현존 최악의 변이’...현재 미국에서 빠르게 확산 중인 코로나19 ‘XBB.1.5변이’를 수식하는 표현들이다. 스텔스 오미크론(BA.2)에서 파생된 XBB의 하위 변위인 XBB.1.5변이는 현재 국내에도 이미 유입된 것으로 확인돼 새해에도 코로나 바이러스와의 전쟁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질병관리청은 2일 “XBB.1.5가 지난달 8일 국내에서 처음 확인됐다”면서 “지금까지 국내 6건과 해외 유입 7건 등 총 13건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XBB.1.5변이는 기존 변이 바이러스 중 가장 전염성과 면역 회피력이 강하다고 알려졌다... 2023. 1. 4. 물리면 죽는다 좀비 바이러스-광견병 광견병은 무서운 질병입니다 치사율이 100%에 근접하거든요 미국 질병관리본부 CDC에 따르면 연평균 약 59000명이 광견병에 의해 사망한다고 합니다 인류 역사상 이 질병으로 생존한 환자수는 15명 남짓인데 말이죠 먼 옛날 사람들은 입에 거품을 물고 주인을 무는 뽀삐에 의해 주인까지 뽀삐처럼 죽는다 하여 이를 광견병이라 하였고 이 병에 걸려 발작을 일으키는 환자에게 귀신을 쫓는다 하여 인두로 지지는 굉장히 잔인하고 몰상식한 행동을 하곤 했습니다 이후 시간이 흘러 1885년 파스퇴르가 조제프 메스테르에게 주사한 최초의 광견병 백신의 시작으로 현대에서는 이러한 예방접종 및 백신의 공급이 원활한 편이죠 광견병 바이러스인 랍도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에게 물릴 경우 처음에는 벌레가 문득 간지럽고 저리게 아프다가 .. 2022. 2. 12. 세상에서 가장 작은 감염자 프리온 2022.02.09 - [생명ll진화] - 티라노사우루스의 목소리? 티라노사우루스는 어떻게 울었을까? 티라노사우루스의 목소리? 티라노사우루스는 어떻게 울었을까? 몸길이 12m 높이 3m에 몸무게몸무게는 7t이 넘으며 가장 큰이빨이 약 30cm에 달하는 백악기 최고의 포식자 티라노사우르스는 어떻게 울었을까요? 티라노사우르스의 직계 후손은병아리와 같은 조 sciencechannel.tistory.com 우리의 보금자리 지구가 특별히 아름다운 이유는 1000만 종이 넘는 생명체가 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나 많은 생물들은 서로에게 크던 작던 영향을 주고 받으며 살아가고 있죠 하지만 바이러스라는 녀석은 조금 특별합니다 생물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하고 아니라고 하기에도 애매한 이 녀석은 세균을 포함한 모든 생물에게 기생.. 2022. 2. 11. 세상에서 가장 작은 감염자 프리온 태양계 행성 중 지구가 특별히 아름다운 이유는 1000만종이 넘는 생명체가 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나 많은 생물들은 서로에게 크던 작던 영향을 주고 받으며 살아가고 있죠 하지만 바이러스라는 녀석은 조금 특별합니다 생물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하고 아니라고 하기에도 애매한 이 녀석은 세균을 포함한 모든 생물에게 기생할 수 있고 세균 보다도 훨씬 작죠 그러나 이 바이러스 보다도 훨씬 작은 감염체가 있습니다 1997년 노벨 생리의학생을 수상한 스탠리 프루시너가 발견한 ‘프리온’이라는 녀석이죠 적어도 바이러스는 지질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껍데기 속에 DNA 또는 RNA가 들어있는데 프리온은 아주 단순한 단백질 그 자체이니까 생물과 무생물 사이인 바이러스 보단 무생물 쪽에 가까울지도 모르겠네요 사실 프리온은 정상적인 동물.. 2022. 2.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