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 소식14 간헐적 단식이 유전자까지 바꾼다? 최근 다이어트 방식으로 인기가 높은 간헐식 단식이 유전자까지 바꾸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체중 감소와 건강 증진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소방관처럼 식사 시간이 불규칙한 교대 근무자들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기대했다. 미국 소크 연구소의 사치다난다 판다 교수 연구진은 지난 3일(현지 시각) 국제 학술지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 “시간 제한 식사(tme-restricted eating, TRE)’가 뇌를 포함해 우리 몸 22군데 이상에서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시간 제한 식사법은 하루에 특정 시간 안에만 식사를 하고 나머지는 시간은 아무 것도 먹지 않는 것이다. 보통 16시간 단식하.. 2023. 1. 5. 2023 주목해야할 과학주제는?? 인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맞서 싸우는 데 메신저리보핵산(mRNA)백신은 중요한 무기 역할을 했다. mRNA 백신을 빠른 속도로 내놓은 과학기술이 이제 다양한 질환으로 시야를 넓힌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지난해 12월 마지막 주 올해 주목해야 할 과학이슈로 mRNA 백신과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 치료제 등 새로운 치료법을 선정했다. 코로나19로 성공적인 데뷔전을 치른 mRNA 백신 제조 기술은 코로나19 대응에만 그치지 않는다. 화이자와 함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말라리아, 결핵, 음부포진 등 다양한 mR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모더나도 음부포진과 대상포진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mRNA 백신을 개발 중이다. 첫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치료제가 올해.. 2023. 1. 5. 새로운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 기존 변이 바이러스에 비해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 많아 면역 회피력 높아 스파이크 단백질 특색에 따라 개발되는 백신 효과 낮아져 ‘백신 뚫는 변이’ ‘백신 무력화’ ‘현존 최악의 변이’...현재 미국에서 빠르게 확산 중인 코로나19 ‘XBB.1.5변이’를 수식하는 표현들이다. 스텔스 오미크론(BA.2)에서 파생된 XBB의 하위 변위인 XBB.1.5변이는 현재 국내에도 이미 유입된 것으로 확인돼 새해에도 코로나 바이러스와의 전쟁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질병관리청은 2일 “XBB.1.5가 지난달 8일 국내에서 처음 확인됐다”면서 “지금까지 국내 6건과 해외 유입 7건 등 총 13건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XBB.1.5변이는 기존 변이 바이러스 중 가장 전염성과 면역 회피력이 강하다고 알려졌다... 2023. 1. 4. 새로운 암 치료법 2022.02.12 - [생명ll진화] - 물리면 죽는다 좀비 바이러스-광견병 물리면 죽는다 좀비 바이러스-광견병 광견병은 무서운 질병입니다 치사율이 100%에 근접하거든요 미국 질병관리본부 CDC에 따르면 연평균 약 59000명이 광견병에 의해 사망한다고 합니다 인류 역사상 이 질병으로 생존한 환자수는 15명 sciencechannel.tistory.com 2022.02.17 - [생명ll진화] - 영원히 산다는 것 영원히 산다는 것 우리의 보금자리 지구 지구가 이렇게 아름다운 이유는 각각 저마다의 개성으로 살아가는 1000만 종의 넘는 생명체가 그들의 방식대로 살아가기 때문일 겁니다 하지만 암세포는 조금 특이합니다 sciencechannel.tistory.com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정상 세포 손상 .. 2022. 2. 26.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