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ll화학

주기율표 원소 118개 간단 정리

by Science Channel DRIVER 2022. 2. 26.
반응형

2022.02.08 - [과학 이슈] - 중국의 유전자 편집 아기 그후

 

중국의 유전자 편집 아기 그후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기술로 태어난 쌍둥이 아기의 탄생, 그리고 2018년 네이처 올해의 10대 인물로선정되었던 과학자 허젠쿠이 2019년 12월그는불법 편집기술이란죄명으로 3년의 형을 선고받았습

sciencechannel.tistory.com

주기율표 1번원소이자 수소폭탄으로도 유명한 수소는 

폭발적인 에너지를 내는 녀석입니다

주기율표 2번이자 둥둥떠나니는 헬륨가스 풍선으로유명한 헬륨은

수소와 함께 우주가 탄생하고 최초로 만들어진 원소입니다

태양의 그리스어 헬리오스에서 따온 헬륨은

태양의 노란빛이 헬륨에서 나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였죠

수소와는 달리 매우 안전한 이녀석은 불에 타지않고 

수소 다음으로 가벼워서 헬륨가스 풍선이나 

비행선을 띄우는데 가스로 사용되죠

만약 풍선에 헬륨말고 수소를 넣었다면 

그건 더이상 풍선이아니라 폭탄 입니다

주기율표 3번이자 그리스어로 돌이라는뜻인 

리티오스에서 따온 리튬은 

주기율표의 3번인 만큼 아주 가벼운 금속이기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등에 쓰이는 금속입니다 

또한 나중에 영상으로 자세하게 올릴테지만

우울증,조울증등의 기분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처방하는 약중에 하나이죠

주기율표 4번이자 에메랄드의 구성성분으로 유명한

베릴륨은 가볍고 단단하고 녹이 잘스지 않기때문에

해저중계기나 X선을 통과 시키는 창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핵융합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죠 

주기율표 5번이자 바퀴퇴치제로 유명한 붕소는

홑원소로는 자연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홑원소와 붕소가 들어가있는 화합물 모두 불에 잘견디는

특징이 있죠  

그래서 내열유리나 화학실험용 플라스크,비커에 흔히들 사용하곤합니다

주기율표 6번이자 제가 가장 좋아하는 원소인 탄소는

지구상의 1000만종이 넘는 생명체가 공통으로 가지고있는 

원소인데 흑연부터 다이아몬드까지 탄소의 결합방식에따라

내구성이 천차만별이며 

탄소나노튜브처럼 지름이나 탄소원자의 배열 방식에 따라

전기가 통하는 정도가 달라지는 매우 희귀한 성질을 이용하여

트랜지스터나 전기회로를 만드는데 사용되며 

우리몸을 구성하는 물질인 만큼

의약품이나 방향제,페인트와 같은 기타 화학제품을 만드는데  쓰이는 물질이죠

주기율표 7번이자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 유명한 질소는

단백질의 기본 단위체인 아미노산의 구성성분중 하나이며

20여가지 아미노산이 서로  엮어 이어진것이 

단백질이라고 부르죠

주기율표 8번이자 산소 그자체로 유명한 산소는

물질을 타게하고,녹슬게하며

식물과 조류가 물을 분해하여 만들어낸   산소로

지구에는 자외선을 막는 오존층이 형성 되었답니다

주기율표 9번이자 치약성분으로 유명한 불소 또는

플루오린 또는 플루오르는

반응성이 매우높아 헬륨과 네온을 제외한 모든원소와

반은하는 성질이 있는데 

일상 생활에는 플루오린 수지를 코팅한 주방제품이나

식사로 인해 이가 산성이되어 

칼슘이 빠져 나오는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치약의 성분으로 사용되죠  

주기율표 10번이자 네온사인으로 유명한 네온은

헬륨과 마찬가지로 비활성 기체이기에 안정하며

네온사인은 유리관 안에서 네온원자가 들뜬상태에서

다시 안정한상태일때 빛을 방출하는 원리로 만든답니다

주기율표 11번이자 이온상태시 짠맛 수용체의 기질로 유명한

나트륨은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금속으로써의 이용은 적으나

이온상태에서 신체내의 칼륨과 함께 신경전달을 책임지는 녀석이죠

주기율표 12번 마그네슘은 

리튬과 나트륨에 이어 세번째로 가벼운 금속인만큼 

노트북과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등에 쓰이며 

엽록체의 중심부에 이온형태로 존재합니다

주기율표 13번 알루미늄은 지각속에서 산소와 규소다음으로 풍부하게 존재하는 금속이며 가볍고 잘 부식되지 않으며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에 실생활에 다양한 용도로 쓰이죠 또한 금속자체의 독성과 향이 없기때문에 

식품과 의료품을 포장하는데 쓰이며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만든 약은 위궤양이나 요로결석등을 예방하는데 쓰이죠

주기율표 14번이자 실리콘으로 유명한 규소는 

조건에따라 전기가 통하거나 통하지않는 대표적인 반도체이며 

산소와 결합하여 유리가 됩니다 

주기율 15번이자  핵산의 구성성분으로 유명한 인은

인 자체로 유전물질인 DNA와 RNA 그리고 신체내의 

에너지 전달물질인 NTP의 재료이죠 

또한 성냥의 발화제로도 쓰인답니다 

주기율표 16번이자 황산으로 유명한 황은 

사람의 단백질 구성성분입니다

고무에 탄소를 넣으면 단단해지고

황을 넣으면 탄력성을 주는 효과가 있죠

주기율표 17번이자 염산으로 유명한 염소는

나트륨과 함께 소금의 구성성분이며

염소자체에는 강한 살균력이 있어서

의료기기등의 소독제로 사용됩니다 

주기율표 18번 아르곤은 공기보다 무거워서

공기중에 같은 비활성기체인 헬륨이나 네온보다

훨씬 더 많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형광등에 수은 증기와 같이 충전되있어서 

형광등의 방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기율표 19번이자 나트륨과 함께 신체내 신경전달을 책임지고 있는

칼륨은 질소와 인처럼 식물에 많이 들어있기때문에 

식물의 비료료도 쓰이며 

칼륨은 동물의 신경전달을 책임질 뿐만 아니라

식물이 기공을 개폐할때 칼륨을 이용하죠 

주기율표 20번이자 인과 뼈의 구성성분으로 유명한 칼슘은

나트륨,칼륨과 함께 신경전달을 책임지는 녀석이며 

만약 칼슘이 부족하다면 골다공증 외에도 신경자체에도 

타격을 주기 때문에 기분이 몹시 초조해집니다

주기율표 21번 스칸듐은 알류미늄과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데 

비싸서 잘 사용하지 않고 스칸듐을 이용한 램프는 

굉장히 밝기 때문에 야구장의 조명으로 쓰이죠 

주기율표 22번 티타늄은 매우 강하고 녹이 슬지 않은 특징때문에 

안경이나 악세서리등에 쓰이며

티타늄을 산소와 결합시켜 광촉매로 쓰면 

빛을 받을시 오물등을 분해는 특징이 있어

화장실 바닥에 사용하곤 하죠

주기율표 23번 바나듐은 광대버섯의 독소중에 함유되어있는데 

바나듐 자체는 단단하고 내식,내열성이 강하여 

드릴이나 스패너등에 쓰입니다 

주기율표 24번 크롬은 내식성이 뛰어나 철과 합성하여 스테인리스로 활용하죠

땅콩에 특히 많이 들어가 있는 크롬은 산소와 함께 유기화합물을 산화할때 사용합니다 

주기율표 25번 망간은 철보다 단단하지만 잘부셔지는특징이 있는데 

주로 건전지에 쓰임니다

주기율표 26번이자 우리몸속 적혈구, 해모글로빈의 중심 원자로 유명한 철은

켈트어로 성스러운 금속이라는 이름 답게 체내 산소 운반자의 기능을 담당하며 

철자체는 아주 소량의 탄소와 섞어 강철이란 금속으로 바꾸어 굉장히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주기율표 27번이자 비타민b12, 즉 코발라민의 중심원소로 유명한 코발트는

예로부터 도자기나 유리등을 파란색으로 착색하는데 쓰이는데 

우리몸에선 코발라민의 중심원자로 적혈구를 생산하는데 필수적으로 쓰이는 

코발트는 특히 육고기에 풍부하게 들어있는데

코발트 부족시 빈혈에 걸리므로 평소에 고기를 드시는게 건강에 좋답니다

주기율표 28 니켈은 구리와 섞어 동전을 만들고 니켈을 포함한 형상기억 합금은 인공위성이나 태양전지의 용수철등에 쓰이죠 

또한 철과 섞어 MRI의 자기 실드에도 사용됩답니다 

주기율표 29번 구리는 열과 전기의 전도율이 은다음으로 높기 때문에 주방제품이나 전선등에 쓰입니다주기율표 30번 아연은 구리와 섞어 황동으로 사용되며 신체내에서 반드시 필요한 미네랄중 하나인 아연은 굴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혀의 미뢰에는 아연이 있어서 신체내 아연 부족시 맛을 느끼지 못하는 미각 장애가 생길수 있습니다 

주기율표 31번 갈륨은 반도체로 사용할떄 실리콘보다 발열이 적어 컴퓨터부터 스마트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기율표 32번 게르마늄은 적외선을 투과하지 않는 성질이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광섬유의 코어에 사용되곤 하죠

주기율표 33번이자 예로부터 암살 독으로 유명한 비소는 현재 급성백혈병의 치료에 사용되며 

갈륨과 섞으면 전자의 이동이 매우 높아져 스마트폰의 전기회로에 사용됩니다 

주기율표 34번 셀레늄은 반응성이 매우 높고 인체에 필수적인 미네랄로 현대생활질병등을 예방하는데 쓰이지만 

지나치게 섭취시 독성을 나타낼수있으니 조심해야하며 빛이 닿을때만 전기가 통하는 성질을 이용여 복사기등에 쓰입니다 

주기율표 35번이자 사진의 감광제로 유명한 브롬은 17족원소인 만큼 반응성이 좋아 홑원소로는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으며 

브로민을 함유한 조개 내장으로 옷감을 염색시 자주빛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죠 

주기율표 36번 크립톤은 비활성 기체인 만큼 반응성이 적고 크립톤 가스는 열을 잘전달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를이용하여 전구안에 봉입시켜 전구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쓰입니다  

주기율표 37번 루비듐은 방사성원소중 하나로 핵붕괴에 의해 스트론튬으로 변하는데 이 현상을 이용하여 방사성 연대 측정법으로 사용됩니다 루비듐은 다른 방사성연대 측정법에 비해 반감기가 약 490억년으로 높아 약38억년전 생성된 남세균의 화석인 

스트로마톨라이트같은 오래된 암석의 연대측정에 사용되곤 합니다 

주기율표 38번 스트론튬은 연소하면 빨간색을 내는데 이를 이용하여 경계신호등에 사용되죠 

또한 스트론튬의 방사성 동위 원소인 스트론튬89는 뼈에 전이된 암의 치료제로 사용되곤 합니다

주기율표 39번 이트륨은 공기중에 잘 산화 되며 하얀색 발광 다이오드를 만드는 재료가 되죠 

주기율표 40번 지르코늄은 내열성 내식성이 뛰어나며 천연 금속가운데 중성자를 흠수하기 가장 어려워서 원자로의 재료로 사용되죠 

주기율표 41번 나이오븀은 타이타늄과 섞어 사용하면 극저온 상태에서 초전도체가 되고 가공하기 쉽기때문에 자기부상 열차등의 전자석에 사용됩니다 

주기율표42번 몰디브덴은 항공기나 로켓엔진등에 사용되는데 식물의 뿌리혹 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할때 필요한 효소를 돕는 역할도 한답니다

주기율표 43번 테크네늄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원소이며 암의 뼈전이를 조사하는 방사성 진단약으로 사용되죠 

주기율표 44번 루테늄은 유기화합물의 광학이성질체를 선택적으로 합성할때 사용합니다 

주기율표 45번 로듐은 매우 단단하고,내식성,내마모성이 뛰어나며 배기가스의 질소 산화물을 분해하는 성질이 있어 자동차 엔진에 촉매로 사용되죠

주기율표 46번 팔라듐을 섞은 합금은 수소를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 유기화합물 합성시 촉매로 이용합니다 

주기율표 47번 ‘은’은 브롬과 섞어 사진필름에 사용되며 은이 이온형태로 존재시 세균에 달라붙어 세균의 호흡을 방해하기 때문에

세탁시 의류가 냄새나는것을 방지할때 사용되곤 합니다 

주기율표 48번 카드뮴은 니켈과 같이 전지의 전극재료로 쓰입니다 또한 페인트의 선명한 노란색은 황화 카드뮴으로 만들죠 

주기율표 49번 인듐은 공기속에서 산화막의 피막으로 덮여 안정된 형태로 있어서  반도체의 재료로 사용되죠 

또한 산화 인듐은 전도성을 지니면서 투명하기 때문에 컴퓨터나 텔레비젼의 액정 디스플레이 전극으로 사용됩니다 

주기율표 50번 주석은 구리와 섞어 청동을 만들고 철판에 도금하여 양철이 됩니다(통조림)

또한 주석과 납의 합금은 땜납이라 하여 콘덴서나 트랜지스터등의 회로에 조립시 사용되죠 

주기율표 51번안티모니는 예로부터 아이셰도우등에 사용되었는데 현재는 산소섞어 삼산화안티모니가 되면 방염재가 되어 

커튼이나 플라스틱,고무등을 타지 않게 만듭답니다 

주기율표 52번 텔루륨은 도자기나 유리등의 착색제로 이용되는데 공기중에 연소하는 반금속으로 열에의해 ‘상’이 바뀌는 성질을 이용해서

DVD등의 기록막에 사용되죠

주기율표 53번이자 빨간약으로 유명한 요오드는 살균 작용이 있기 때문에 소독약으로 사용되며 

인체에는 필수적인 미네랄로 갑상선 호르몬 티록신에 재료이기도 합니다 

주기율표 54번 제논을 이용한 제논가스의 제논램프는 자외선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인공선탠에 사용되죠

주기율표 55번 세슘은 알칼리금속중 하나이며 물과 함께 반응하여 격렬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세슘이 진공 용기 안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는 주기가 매우 정확한 성질을 이용하여

원자시계를 만드는데 이는 2000만년에 1초도 틀리지 않습니다 

또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gps를 만들기도 하죠

주기율표 56번 바륨은 많은 전자를 가지고 있어 x선이 통과하기 어려운 성질을 지니고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x선검사시 황산바륨을 조영제로 사용하곤하죠

주기율표 57번 란탄은 니켈과 섞어 수소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연료전지의 연료인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용기로 사용되죠(하이브리드 자동차)

주기율표 58번 세륨은 자외선 흡수효과가 있어서 선글라스 렌즈나 자동차 창에 집어 넣습니다

또한 유리의 불순물들을 산화시켜 투명도가 높은 유리를 만들기도 하죠

주기율표 59번 프라세오디뮬은 원래는 하얀색 금속이지만 상온의 공기중에 표면이 산화 되어 노란색이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도자기등을 염색하며 영구자석인 프라세오디뮴 자석등을 만드는데 사용되죠

주기율표 60번 네오디뮴은 철과 섞을시 철의 자기뿐아니라 자신의 

자기까지 같은방향으로 고정시켜 매우 큰 자기를 가진 영구자석으로 만들수있습니다

주기율표 61번 프로메튬은 원자력 전지의 연료로 이용하는데
방사선을 전기 에너지로 변화하는 원자력 전지는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태양광이 약한 곳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탐사선의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됩니다

주기율표 62번 사마륨은 영구자석에 사용되는데  
철을 주성분으로 한 네오디뮴은 녹슬기 쉬워
사마륨을 대신 사용하고 싶지만 아주 비싸서
시계 등의 소형 용도로 밖에 사용하지 못합니다
또한 사마륨 방사선 동위원소인 사마륨 147의 반감기는 1080억 년으로
매우 길어 아주 오래된 암석의 연대측정에 사용되죠
주기율표 63번 유로퓸은 브라운관에 빨 산색 형광체로 사용됩니다
주기율표 64번 가돌리늄은 상온에서도 높은 자성을 띄어
MRI의 농도를 강조하는 조영제로 사용하죠
주기율표 65번 터븀은 디스플레이의 초록색 형광체로 쓰이며
x선 촬영의 감도를 올리는 증감 제로 사용됩니다
주기율표 66번 디스프로슘은 빛 에너지를 모아 발광하는 특징이 있어
비상 안내등의 야광 물질로 쓰입니다
주기율표 67번 홀뮴은 의료기기의 레이저 치료기에 사용되는데
다른 레이저에 비해 발열이 적어 환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죠
주기율표 68번 에르븀은 장거리 장통 신에서도 빛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서 광섬유로 활용합니다
주기율표 69번 튤리 움은 방사선 계량기에 이용됩니다 방사선을 받은 다음 가열하면 형광을 방출하거든요
주기율표 70번 이터븀은 유리를 황록색으로 착색하는 데 사용합니다
 주기율표 71 루테튬은 지구 상에서 아주 양이 적어
사용하는 곳은 드물지만
때때로 루테튬의 방사성동위원소는 연대측정에 사용되죠
주기율표 72번 하프늄은
중성자 흡수율이 뛰어나 원자로의 제어봉에 사용합니다
주기율표 73번 틴탈은 단단하며 연성이 뛰어나 가공하기 쉽고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타이타늄과 함께 인공뼈나 임플란트 치료에 사용되죠
주기율표 74번 텅스텐은 모든 금속 가운데 녹는점이 가장 높고
아주 가는 선으로 가공할 수 있어서 백열전구의 필라멘트에 사용됩니다
또한 매우 단단하고 무거워서 철과 섞어 드릴 등에 사용되죠
주기율표 75번 레늄은 열전도가 좋아서 온도센서 끝부분에 이용됩니다
주기율표 76 오스뮴은 유기화합물에 수산화기 두 개를 같은 방향으로
첨가할 때 촉매로 쓰이며 산화되기 쉬운 금속입니다
주기율표 77번 이리듐은 지구 상에서 매우 적은 희귀 금속이며
가공하기 어려워서 단독으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조류를 제외한 공룡이 멸종한 6500만 년 전 지층에서 이리듐이 발견되었는데,

지구에는 이리듐이 매우 적지만 운석에는 이리듐이 많이

포함되어있어서 공룡의 멸종은 운석 충돌로 인해 생긴 것으로 추측되죠
주기율표 78번 백금은 플레티늄이라고도 하는데
금을 바탕으로 하는 화이트 골드와는 전혀 다른 물질입니다
백금은 부식되지 않고 촉매로도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어
석유정제나 암모니아 산화에 의한 질산 제조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 등에 사용되죠
또한 의학에서 암 치료제로도 쓰이는데 이때 쓰이는 것이
백금의 화합물인 시스플라틴입니다
주기율표 79번 금은 가공하기 매우 쉽고 부식되지 않으며 합금하면 강도가 높아지고,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에 여러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죠
주기율표 80번 수은은 상온에서 유일하게 액체인 금속입니다
온도계나 체온계, 형광등에 이용되며 과거에는 소독약 등에 쓰였지만
금속 자체에 독성이 강해 지금은 사용하지 않죠 

주기율표 81번 탈륨은

겉보기에는 성질이 납과 비슷 한데

독성이 강해 과거에는

쥐나 벌레를 잡는데 사용했엇죠

또한 수은과 섞어 극지용 온도계로도 사용합니다

주기율표 82번 납은 

과거에는 안료나 의약품등에 사용했으며

납축전지의 전극에 사용되는 납은 자동차

배터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죠

주기율표83번 비스무트는

은백색 광택이나는 매우 무른 금속인데 

비스무트를 포함하여 

납,스트론튬,칼슘,구리,산소와 섞어 초전도 케이블에 사용됩니다

그 밖에 비스무트는 화재용 스프링클러 마개에도

위궤양,십이지장 궤양등의 치료약으로도 사용되죠

주기율표 84번 폴로늄은

퀴리부부가 최로로 발견한 원소이며 

원자력 전지를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주기율표 85번 아스타틴은 

반감기가 매우 짧으며 세포 살상력이 높아

암치료에 대한 기대가 높은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86번 라돈은

비활성기체에 속하는 무색의 기체이지만

안정동위원소는 존재하지 않으며 

모두 방사성 동위원소로 

강한 방사능을 지닌 위험한 원소입니다

라돈은 일찍이 암 치료에 사용되었지만

취급하기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현재는

다른 방사성 물질로 대체 되었죠 

주기율표 87번 프랑슘은 

알칼리 금속중 하나이며 반감기가 매우 짧은 

방사성원소로 존재량이 적고 화학적성질도 

거의 밝혀진것이 없어서 

사용하는 용도가 거의 없는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88번 라듐은

1898년 퀴리부부가 발견했는데

퀴리부인은 라듐의 방사선에 노출되어 백혈병에 걸려 사망했죠

주기율표 89번 악티늄은

중성자를 방출하기 때문에 중성자원으로 사용되는데

연구이외의 용도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주기율표 90번 토륨은

지구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방사선원소로

원자력발전에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죠  

주기율표 91번 프로트악티늄은

붕괴하여 악티늄이 됩니다 

반감기가 가장긴 프로트악티늄의 동위원소는

약 3만 2500년이죠

주기율표 92번 우라늄은

원자핵에 중성자가 닿으면 핵분열을 일으켜서

에너지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핵분열을 연쇄적으로 일으키면 한꺼번에 

막대한 에너지를 얻을 수있죠 

이러한 연쇄 반응을 한순간에 일으키도록 만든것이

원자폭탄 입니다 

주기율표 93번 넵투늄은 인공적으로 합성된

초우라늄 원소인데 

플루토늄 제조용으로 사용되곤 합니다

주기율표 94번 플루토늄은

우라늄에 중양성자를 쏘아 만든 인공적인 원소인데

원자력 발전의 핵연료로 사용되고 

인공위성등에 탑재 되어 원자력 에너지로서 이용됩니다

주기율표 95번 아메리슘은

플루토늄에 중성자를 쏘아서 만든 원소인데

플루토늄의 부산물로 쉽게 얻을 수있어서 

방사선을 이용한 센서등에 활용됩니다 

주기율표 96번 퀴륨은

플루토늄에 헬륨을 쏘아 만든것입니다

예전에는 원자력전지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플루토늄으로 대체 되었죠

주기율표 97번 버클륨은 

아메리슘에 헬륨을 쏘아 만든것으로

연하고 은백색 금속인 버클륨은

매우 강한 방사선을 방출하기때문에

연구외에는 사용 되지 않죠 

주기율표 98번 켈리포늄은 

퀴륨에 헬륨을 쏘아 만든 원소로

스스로 핵분열을 일으키는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99번 아인슈타이늄은

1952년 수소폭탄실험으로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군사기밀로 숨겨져 있다가

1955년 공표 되었죠

주기율표 100번 페르뮴은 아인슈타이늄처럼

수소폭탄 실험과정 중에 발견되었습니다

우라늄에 산소이온을 충돌시켜 만들기도 하죠 

주기율표 101번 멘델레븀은

가속기에 아인슈타이늄과 헬륨을 쏘아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02번 노벨륨은 

가속기에 퀴륨에 탄소이온을 쏘아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03번 로렌슘은 

가속기에 켈리포늄에 붕소 이온을 쏘아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04번 러더포늄은 

가속기에서 캘리포늄에 탄소이온을 쏘아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05번 더브늄은

아메리슘입자를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06번 시보귬은 

가속기에서 캘리포늄에 산소를 쏘아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07번 보륨은

가속기에서 납과 크롬의 원자핵 반응에 의해 

생성된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08번 하슘은

가속기에서 남에 철 이온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09번 마이트너륨 은

가속기에서 비스무트에 철 원자핵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10번 다름슈타튬은

가속기에서 철에 니켈이온을 쏘아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11번 뢴트게늄은

가속기에서 비스무트에 니켈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12번 코페르니슘은

가속기에서 납에 아연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13번 니호슘은

가속기에서 비스무트에 아연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14번 플레로븀은

가속기에서 프루토늄에 칼슘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15번 모스코븀은

가속기에서 아메리슘에 칼슘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16번 리버모륨은

가속기에서 퀴륨에 칼슘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17번 테네신은 

가속기에서 버클륨에 칼슘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118번 오가네손은 

캘리포늄에 칼슘을 충돌시켜 만든 원소입니다

현재 가장 무거운 원소이죠

 

2022.02.09 - [생명ll진화] - 오미크론이 빠르게 전파되는 이유

 

오미크론이 빠르게 전파되는 이유

오미크론 변종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전 바이러스들 보다 매우 급속도로 전세게로 퍼져 나가고 있습니다 오미크론은 이전 바이러스들과는 완전히 벗어난

sciencechannel.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