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29 - [생명ll진화] - 대체 오미크론 어디에서 왔을까?-1
대체 오미크론 어디에서 왔을까?-1
오미크론을 이전 코로나 바이러스와 연결하는 정확한 연결고리는 없습니다. 이 변종은 특이한 돌연변이 배열을 가지고 있죠 오미크론은 알파 및 델타와 같은 초기 변이체와 너무 다
sciencechannel.tistory.com
19세기 말 러시아,
당시 중요한 상업 농작물였던 담뱃잎이
서서히 말라가다 죽어가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과학자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는 이러한
담뱃잎에 특이한 현상 등을 발견했는데
담배가 죽어갈 때 모자이크 형태로 말라가다 죽고
죽은 지 오해된 담뱃잎에도 여전히 전염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죠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 여러 실험을 통해 세균과는 달리
초벌구이를 한 도자기의 작은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당시 과학자들은 이 정체불명의 병원체에 라틴어로 독물이라는 뜻의 바이러스라 이름을 붙였고
그 실체는 1938년 독일의 지멘스사가 전자 현미경을 개발한 이후에 밝혀낼 수 있었죠
바이러스는 지난 한 세기 여러 차례 해석이 바뀌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독소에서 다음은 세균과 같은 감염체로 다음은 생화학물질로
최종적으로는 생물과 무생물 사이의 경계자로 규정했죠
바이러스는 특이하게도 생물 밖에서는 단순한 물질이라 죽인다라는 표현이 걸맞지 않은 녀석이지만
자신이 원하는 생물속으로 들어가면 생물체처럼 증식하고 대사 하죠
하지만 숙주 속에서 완전한 생물인가에 대해서도
생명체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단백질을 만드는 도구인 리보솜이 없어
숙주의 리보솜을 빌려서 사용하기에
특정 조건에서는 생물이다라고도 말할 수 없는 녀석입니다
또한 생물체는 유전물질로 DNA를 가지지만
바이러스는 DNA뿐만 아니라 DNA의 부분만 복사한 복제품인 RNA 또한 유전물질로 가지고 있죠
예를 들어 코로나 바이러스도 RNA 바이러스이죠
이제 현미경의 배율을 높여 봅시다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에 있는 또 다른 물질 프리온
광우병으로 불리는 크로이츠펠트 야콥병의 원인이 바로 프리온인데요
프리온은 단순한 단백질입니다
앞에서 언급한 바이러스의 약 1/1000 이하의 크기의 이 전염성 단백질은
끓는 물이나 방사선에도 잘 버티며
크기가 너무 작고 일반적으로 생물 내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지는 물질이라
자체적인 면역계가 잘 인식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작은 단백질은 건강한 사람의 뇌에도 있고 각종 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는데
중간에 변이가 생겨 모양이 흐트러지면 다른 건강한 단백질도 같이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증식을 하는 걸로 추정되죠
이러한 경계자들은 생물과 무생물 사이의 징검다리를 하며 생명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2022.01.30 - [생명ll진화] - 오미크론(omicron)의 특이점
오미크론(omicron)의 특이점
2022.01.29 - [생명ll진화] - 대체 오미크론 어디에서 왔을까?-1 대체 오미크론 어디에서 왔을까?-1 오미크론을 이전 코로나 바이러스와 연결하는 정확한 연결고리는 없습니다. 이 변종은 특이한 돌
sciencechannel.tistory.com
'생명ll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초 유전자 편집 아기 (0) | 2022.01.24 |
---|---|
전두엽이 파괴 된다면? (0) | 2022.01.23 |
똥은 왜 갈색 일까? (0) | 2022.01.21 |
코로나로 인한 사망 (0) | 2022.01.19 |
세포 속으로-1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