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ll진화

정자 없이 난자 한개 만으로 쥐가 태어났습니다

by Science Channel DRIVER 2022. 3. 14.
반응형

정자 없이 난자만으로 
포유류인 생쥐가 태어났습니다
태어난 생쥐는 성체가 되어 
새끼까지 낳았죠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은 정자와 난자가 결합 후
태아로 성장합니다
그러나 어떤 생물은 
유성생식과 함께 
단성생식이라는 것도 할 수 있죠
단성생식은 
미수정 난자가 
혼자 태아까지 자라는 것으로 
파충류나 양서류 곤충, 식물 등에서는 볼 수 있지만 
포유류에선 불가능한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진은 미수정 난자 227개의 유전자를 교정해 수정란 192개를 만들었고
이중 14개가 자궁에 정상적으로 착상해 임신에 성공했으며, 
다시 그중 3개가 새끼로 태어났다고 합니다
최종적으로 한 마리만 암컷 성체로 자라났고  
이 생쥐는 새끼를 낳았죠 
이전에 2004년 생쥐의 미수정 난자 두 개를 융합해 
새끼를 탄생시킨 적은 있으나 
발생단계가 다른 두 난자를 이용했으므로 
진정한 단성생식은 아녔습니다 
태아는 부모에게서 각각 DNA 반반씩을 물려받습니다. 이때 
부모 양쪽에서 받은 똑같은 유전자 두 개가 충돌하지 않도록
특정 구역에 메틸기를 붙여 
작동하지 않게 하죠 이를 유전자 각인이라고 하는데.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이 특정 영역을 새롭게 바꾼 것이었습니다 
연구진은 먼저 발생 초기 단계에서
미수정 난자의 유전자를 두 배로 증가시켰습니다. 
유전자 양에서만 볼 때 일반 수정란과 똑같아진 것이죠.
다음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배아 발생에 
중요한 각인 유전자 7개를 교정했습니다.
인위적으로 유전자 각인을 유도한 것이었죠. 
이를 통해 새로 추가된 암컷 유전자는 수컷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암컷 유전자 한쪽을 수컷으로 가장시킨 셈였습니다. 
그 결과 수정란은 태아로 자랄 수 있게 되었죠
하지만 아직 단성생식이 완벽하게 성공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단성생식으로 태어난 새끼는 체중이 적었으며 일부 유전적 결함도 
보였기 때문이었죠 태아의 발생과정에 필요한 각인 유전자가 더 있거나 
유전자 교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 등도 있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래에는 사람도 단성생식이 가능해질까요?

반응형